안녕하세요. 정보저장소 입니다. 윈도우 가상메모리 설정방법에 대하여 포스팅 하겠습니다.
고사양 게임이나 메모리 사용 비중이 큰 프로그램을 실행 시 메모리 부족 메시지가 나타나신 경험이 있으실 겁니다.
게임 시 중요한 순간에 자꾸 이런 메모리 부족 메시지가 나타나 게임이 튕기거나 프로그램이 튕기는 현상 많이 겪어 보셨죠.
일단 메모리 부족 할 경우 해결 방법은 현재 사용 중인 메모리가 부족 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므로
메모리 교체 혹은 메모리 추가 장착의 방법이 가장 우선입니다.
하지만 또 다른 방법으로는 가상메모리 설정을 하여 메모리 덤프를 시켜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16G 이상의 메모리를 사용 중 이시라면 굳이 가상메모리를 설정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저의 PC같은 경우 8G의 메모리를 사용 중 입니다.
스팀게임 H1Z1를 플레이 할 시 자주 메모리 부족 현상이 나와 골치 아파 가상메모리를 설정하게 되었는데요.
일단 설정 방법을 보시겠습니다.
바탕화면의 내 컴퓨터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클릭하여 속성 탭에 들어갑니다.
바탕화면에 내 컴퓨터 아이콘이 없으신 분들은,
윈도우 좌측 하단 시작 버튼을 눌러 검색 창에 '고급 시스템 설정' 이라고 검색하시면 나오십니다.
내 컴퓨터의 속성 탭에 들어가 PC정보가 나오게 되는데요, 프로세서, 설치된 메모리(RAM) 등 정보가 나오게 됩니다.
보이시는 것과 같이 제 PC는 8GB의 램을 사용 중 입니다.
좌측의 고급 시스템 설정을 눌러 들어갑니다.
상단의 메뉴에서 고급 탭을 눌러 성능의 설정을 누릅니다.
다시 고급 탭을 들어가 하단의 가상메모리 변경 버튼을 누릅니다.
긴 여정끝에 도착한 가상메모리 설정 탭 입니다.
상단에 모든 드라이브에 대한 페이징 파일 크기 자동 관리에 체크를 해제 합니다.
중간의 사용자 지정 크기에 체크를 해 주시면, 가상메모리 설정이 가능합니다.
처음 크기, 최대 크기를 직접 입력 해 주셔야 하는데요.
제가 가상 메모리 관련 자료를 찾아봤을 때 이상적인 가상메모리 설정은
하단의 권장 란에 12217 MB라고 나온 값이 있을겁니다.
처음 크기는 권장 값의 0.5배, 최대 크기는 권장 값의 1.5배 해 주시는 방법 입니다.
예를 들어 제 권장 페이징 파일 크기는 12217 이므로 처음 크기는 12217 x 0.5 = 6108
최대 크기는 12217 x 1.5 = 18325 로 설정 할 수 있습니다.
빈 칸에 본인이 설정 한 메모리 값을 넣으신 후 확인 버튼을 누르시고
윈도우를 재부팅 해 주시면 가상 메모리 설정이 완료 되게됩니다.
가상 메모리 설정을 해서 메모리 덤프를 시키게 되면 가상메모리를 이용 할 수록 시스템의 쾌적성은 떨어지니
시스템 메모리가 부족하여 어쩔수 없을경우에 이용 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적당한 가상메모리 설정으로 쾌적하게 PC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윈도우 가상메모리 설정방법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가상메모리와 관련 하여 포스팅이 잘 못 되었거나 궁금하신 점은 댓글이나 방명록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공감 버튼 한 번 눌러주시기 바랍니다.
'정보 > IT, 인터넷'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롬 확장프로그램 삭제 방법 (0) | 2016.12.08 |
---|---|
그래픽카드 보는법 3초면 확인 (0) | 2016.12.06 |
컴퓨터 화면 캡쳐 하는법 (0) | 2016.12.04 |
한글이 안쳐질때 해결 방법 (0) | 2016.12.02 |
pc카톡 엔터 줄바꾸기 방법 (0) | 2016.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