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정보저장소 입니다. 유튜브 버퍼링 해결방법 세가지 방법에 대하여 포스팅 하겠습니다.

유튜브 동영상 보다가 버퍼링 걸려서 답답한적 많으시죠.

전에는 안그랬는데 요즘따라 자꾸 유튜브 동영상 재생 시에 버퍼링이나 렉이 걸려서 영상이 자꾸 끊기는 분들은

이 세가지 방법을 참고하셔서 유튜브 버퍼링 렉없이 시청 하실 수 있습니다.

 

 

첫번째 방법

 

크롬으로 유튜브를 실행한다.

크롬이라는 웹 브라우져의 속도는 인터넷 익스플로러보다 속도가 월등히 빠르고

크롬 자체가 구글 기반이기 때문에 유튜브 버퍼링 현상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습니다.

기존에 인터넷 익스플로러 사용하셨던 분들은 간단히 크롬 웹 브라우저를 다운받으셔서

유튜브를 이용 하시면 고화질 영상에서도 버퍼링 혹은 렉이 현저히 줄어들었음을 체감하실 수 있을 것 입니다.

하단의 링크를 누르시면 제가 포스팅 했던 크롬 다운로드 포스팅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크롬 다운로드 및 설치방법 포스팅 바로가기◀

 

 

두번째 방법

 

이미 크롬 웹 브라우저를 사용중이신데 유튜브 버퍼링이 걸리시나요?

그렇다면 크롬 설정을 따로 하셔서 버퍼링 렉 현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위의 사진은 크롬을 실행 한 모습인데요.

우측 상단의 점 세개 버튼을 누르시고 설정 버튼을 클릭 합니다.

 

 

 

 

 

설정 버튼을 누르시면 크롬 설정 페이지로 이동하게 되는데요.

아래로 쭉 내리시면 고급 설정 표시 버튼이 있습니다.

고급 설정 표시 버튼을 눌러 줍니다.

 

 

 

 

 

고급 설정 표시 버튼을 눌러 여러 설정 버튼들이 생성되게 되는데요.

하단으로 쭉 내리시다보면 시스템란에 가능한 경우 하드웨어 가속 사용 버튼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이 메뉴에 체크가 되어 있으실 겁니다.

체크 표시를 해제해 주시고, 크롬을 재실행 해줍니다.

그러면 크롬 설정은 완료 되었구요. 유튜브 영상 시청을 통해 버퍼링 감소 효과를 확인 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세번째 방법

 

이 방법은 인터넷 DNS의 설정을 강제로 구글전용 DNS로 변환 하는 방법입니다.

과정이 조금 있긴 하지만 굉장히 쉬우니 쉽게 따라하실 수 있습니다.

 

 

 

 

 

윈도우 좌측 하단의 윈도우 로고 버튼을 눌러 '네트워크 상태 및 작업 보기' 라고 검색합니다.

검색 하시면 상단에 네트워크 상태 및 작업 보기 버튼이 나타나실 텐데요. 이 메뉴를 클릭합니다.

 

 

 

 

 

그 후, 좌측에 보이시는 어댑터 설정 변경 버튼을 클릭합니다.

 

 

 

 

 

현재 인터넷 연결 중인 네트워크가 나타나게 되는데요.

저는 VPN을 사용 중이라 두개의 로컬 영역 연결이 나타나게 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한 개의 연결이 보이실 겁니다.

현재 연결 활성화 되어 있는 로컬 영역 연결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 - 속성 탭을 클릭합니다.

 

 

 

 

 

로컬 영역 연결 속성으로 들어온 모습입니다.

하단으로 스크롤을 조금 내리시다 보면 Internet Protocol Version 4(TCP/IPv4)가 보이십니다.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 라고 한글로 보이실 수도 있습니다.

이 부분을 누르시고 속성 버튼을 누릅니다.

 

 

 

 

 

이곳에서 DNS 서버 주소를 번경 하실 수 있습니다.

기본 설정 DNS 서버 : 8.8.8.8

보조 DNS 서버 : 8.8.4.4

이렇게 두개의 서버를 설정해 주시고 확인 버튼을 누르시면

모든 설정이 끝나게 됩니다.

단순히 구글페이지의 속도를 빠르게 개선하기 위한 설정이니

다른 어떤 피해도 보지 않습니다.

 

이 포스팅에서 제시한 유튜브 버퍼링 해결 방법 중 에서 웬만하면 유튜브 버퍼링 렉 현상은 해결이 되실겁니다.

이상으로 유튜브 버퍼링 해결방법 세가지 방법 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유튜브 관련하여 질문사항이나 잘못된 점이 있으시면 댓글이나 방명록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공감버튼 누르시는 센스!

+ Recent posts